환경산업별 사업체 및 종사자 현황
◦ 2018년 말 기준 환경산업통계 작성범위 내의 환경관련 사업체 수는 전년도 대비 0.4% 증가
- 2016년(57,858개소) → 2017년(58,013개소) → 2018년(58,235개소) 매년 지속적인 증가 추세
◦환경관련 58,235개 사업체에서 종사하는 총 종사자 수는 1,147,797명이며, 이 중 환경부문 종사자 수는 447,544명으로 39.0%를 차지
구분 |
2017년도
| 2018년도
|
업체수 |
환경부문 종사자수 |
업체수 |
환경부문 종사자수 |
전(全) 산업 |
58,013 |
443,956 |
58,235 |
447,544 |
자원순환관리 |
18,906 |
131,470 |
18,900 |
131,346 |
물관리 |
6,794 |
68,964 |
6,909 |
70,080 |
환경복원 및 복구 |
772 |
9,207 |
781 |
9,343 |
기후대응 |
3,654 |
21,628 |
3,659 |
21,660 |
대기관리 |
2,421 |
28,753 |
2,447 |
29,300 |
환경안전⋅보건 |
2,786 |
35,315 |
2,918 |
37,018 |
지속가능 환경⋅자원 |
17,951 |
113,442 |
17,827 |
112,747 |
환경지식⋅정보⋅감시 |
4,728 |
35,177 |
4,793 |
36,050 |
구분 |
2016년도
| 2017년도
| 2018년도
|
전체 |
업체당 |
전체 |
업체당 |
전체 |
업체당 |
사업체수(개소) |
57,858 |
- |
58,013 |
- |
58,235 |
- |
매출액(억원) |
980,628 |
16.9 |
988,188 |
17.0 |
997,030 |
17.1 |
종사자수(명) |
440,756 |
7.6 |
443,956 |
7.7 |
447,544 |
7.7 |
환경산업별 매출액 현황
◦ 2018년도 환경부문 매출액은 99조 7,030억원으로 추정되며, 2017년도 환경부문 매출액 98조 8,188억원 대비 0.9% 증가
◦ 환경산업체의 2018년 매출액(사업체당)은 17.1억원, 종사자수(사업체당)는 7.7명으로 영세한 수준임
구분 |
2017년도
| 2018년도
|
업체수 |
환경부문 매출액 |
업체수 |
환경부문 매출액 |
전(全) 산업 |
58,013 |
988,188 |
58,235 |
997,030 |
자원순환관리 |
18,906 |
295,679 |
18,900 |
294,928 |
물관리 |
6,794 |
254,310 |
6,909 |
259,325 |
환경복원 및 복구 |
772 |
9,940 |
781 |
10,054 |
기후대응 |
3,654 |
33,010 |
3,659 |
33,068 |
대기관리 |
2,421 |
55,169 |
2,447 |
56,732 |
환경안전⋅보건 |
2,786 |
78,128 |
2,918 |
81,004 |
지속가능 환경⋅자원 |
17,951 |
191,432 |
17,827 |
190,115 |
환경지식⋅정보⋅감시 |
4,728 |
70,520 |
4,793 |
71,804 |
주1) 환경부문매출액은 전체 매출액 중 환경산업 활동을 함으로써 발생한 매출액을 말함
환경산업별 수출액 현황
◦ 2018년도 환경부문 수출액은 8조 2,005억원으로 추정되며, 2017년도 환경부문 수출액 8조 1,319억원 대비 0.8% 증가
구분 |
2017년도
| 2018년도
|
환경부문 수출액 |
구성비 |
환경부문 수출액 |
구성비 |
전(全) 산업 |
81,319 |
100.0 |
82,005 |
100.0 |
자원순환관리 |
20,300 |
25.0 |
20,524 |
25.0 |
물관리 |
35,686 |
43.9 |
36,128 |
44.1 |
환경복원 및 복구 |
272 |
0.3 |
280 |
0.3 |
기후대응 |
4,568 |
5.6 |
4,548 |
5.5 |
대기관리 |
4,237 |
5.2 |
4,314 |
5.3 |
환경안전⋅보건 |
3,888 |
4.8 |
4,027 |
4.9 |
지속가능 환경⋅자원 |
11,581 |
14.2 |
11,385 |
13.9 |
환경지식⋅정보⋅감시 |
786 |
1.0 |
798 |
1.0 |
주1) 환경부문 수출액은 전체 수출액에서 환경관련 제품 또는 서비스(용역)를 제공하여 발생한 금액을 말함
지역별 수출액
◦ 기타 지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의 수출액이 증가하였음
- 지역별로는 아프리카(+9.1%), 선진국(+5.8%), 중동(+3.6%) 등의 순으로 증가율이 크게 나타남
- 오세아니아의 경우 전년 대비 40.0% 증가했으나 수출액 규모가 작아 영향력은 미미함
- 기타 지역의 수출액은 전년대비 -9.0% 감소
구분 |
2017년도
| 2018년도
|
환경부문 수출액 |
구성비 |
환경부문 수출액 |
구성비 |
계 |
81,319 |
100.0 |
82,005 |
100.0 |
중국 |
14,799 |
18.2 |
14,842 |
18.1 |
동남아 주1) |
15,895 |
19.5 |
16,103 |
19.6 |
중동 |
20,192 |
24.8 |
20,909 |
25.5 |
아프리카 |
6,584 |
8.1 |
7,182 |
8.8 |
선진국 주2) |
8,538 |
10.5 |
9,036 |
11.0 |
오세아니아 |
5 |
0.0 |
7 |
0.0 |
그 외 기타 주3) |
15,305 |
18.8 |
13,926 |
17.0 |
주1) 동남아 : 베트남, 라오스, 캄보디아, 타이, 미얀마, 말레이시아, 싱가포르, 인도네시아, 필리핀, 브루나이
주2) 선진국(G8) : 프랑스, 미국, 영국, 독일, 일본, 이탈리아, 캐나다, 러시아
주3) 기타 국가 : 상기 국가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기타 아시아, 남미, 유럽 등 일부 국가(구분이 모호한 대만, 터키 포함)
경기도 환경산업 현황
◦ 경기도에는 전국 환경기업 58,235개사 중 25.8%에 해당하는 15,000개사 위치
◦ 우수한 기술 및 제품력을 바탕으로 국가 환경부문 매출액 99조 7,030억원의 35.1%인 35조원 상당의 환경 시장 규모 형성
※ 자료출처 : 2019년 환경산업 통계조사 보고서(환경부, 2020.02.06)